HOME > 커뮤니티 > 뉴스



제목 | 최근 치즈 수입수요 증가요인과 국내산 치즈산업의 과제 | ||||
---|---|---|---|---|---|
작성자 | 관리자 (admin) | 등록일 | 2014.04.14 | 조회수 | 2077 |
우리나라 치즈 소비량은 식문화 서구화, 외식산업의 성장 및 고급화 등에 따라 자연 치즈 위주로 크게 증가하고 있음. 국내 치즈 소비의 대부분을 수입 산에 의존하여, 치즈 수입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임. 한편 국내 치즈 생산은 지난 10년간 가공 치즈를 위주로 다소 증가 했으나, 소비량이 크게 늘고 있는 자연 치즈는 감소. 향후 FTA 등 시장개방 확대로 치즈 자급률은 더욱 하락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국내 치즈산업 기반 유지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 특히, 현재 실시 중인 ‘가공 원 료유 지원 사업’을 더욱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국내산 치즈의 품질제고, 수입산 과의 시장 차별화 등을 위한 노력이 요구됨
□ 우리나라의 치즈 소비량은 2002년 52.9천 톤에서 2012년 99.3 천 톤으로 10년 간 87.8% 증가
○ 이 가운데 자연치즈는 2002년 30.0천 톤에서 2012년 75.3천 톤으로 151%(45.3천 톤) 증가
○ 가공치즈는 2002년 22.9천 톤에서 2012년 24.1천 톤으로 5.0%(1.2천 톤) 증가에 그침
○ 2012년 현재 우리나라의 연간 1인당 치즈 소비량은 1.98kg으로 미국 (14.98kg), EU(13.04kg) 등 서구 선진국들에 비해 크게 적은 수준
□ 이러한 우리나라 치즈 소비량 증가는 식문화 서구화, 외식산업의 성장 및 고급화 등에 따른 것으로 보임
○ 국내 외식업체(음식점업 및 주점업) 매출액은 2002년 40.5조 원에서 2012년 77.3조원으로 10년간 90.9%(36.6조 원) 증가
외식업체(음식점업 및 주점업) 수는 2002년 595.8천 개에서 2012년 624.8천 개로 4.9%(29천 개) 증가
업체당 매출액은 2002년 개소 당 68백만 원에서 2012년 123.7백만 원으 로 81.9%(55.7백만 원) 증가
□ 국내 치즈 수요 증가에 따라 자연치즈를 위주로 큰 폭의 수입 증가 세에 있으며, 주요 수입 대상국은 미국, 뉴질랜드, 호주, 독일 등임
○ 치즈 수입량은 2002년 32.0천 톤에서 2012년 77.5천 톤으로 10년 간 142%(45.5천 톤) 증가
이 가운데 자연치즈는 2002년 20.3천 톤에서 2012년 71.5천 톤으로 252%(51.2천 톤) 증가
반면 가공치즈는 2002년 11.7천 톤에서 2012년 6.0천 톤으로 48.6%(5.7 천 톤) 감소
○ 수입액은 2002년 85.1백만 달러에서 2012년 359.7백만 달러로 약 323%(274.6백만 달러) 증가
○ 주요 수입 대상국은 미국, 뉴질랜드, 호주, 독일 등으로 2012년 수입 시장 점유율은 각각 41.1%, 30.8%, 9.7%, 4.7%임
□ 향후 치즈 수입량은 EU, 미국, 호주와의 FTA체결로 인한 관세 철폐 및 무관세 쿼터 등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한·EU FTA(2011년 7월 발효)에서 우리나라는 치즈에 대해 10~15 년간 관세(36%)를 철폐하고, 무관세 쿼터를 제공하여 첫해 4,560톤 에서 시작해 2024년까지 매년 3%씩 증량됨
○ 한·미 FTA(2012년 3월 발효)에서도 10~15년간 관세를 철폐하고, 무관세 쿼터를 제공하여 첫해 7,000톤에서 시작해 2025년까지 매년 3%씩 증량됨
○ 한·호주 FTA(2013년 12월 타결)에서는 13~20년간 관세를 철폐하고, TRQ(관 세 할당) 제공하여 첫해 4,630톤에서 시작해 12년차까지 매년 3%씩 증량됨
□ 한편, 국내 치즈생산은 지난 10년간 가공치즈를 위주로 다소 증가했 으나, 소비량이 크게 늘고 있는 자연치즈 생산은 오히려 감소
○ 국내 치즈 생산량은 2002년 20.7천 톤에서 2012년 22.5천 톤으로 10년간 8.8%(1.8천 톤) 증가
이중 가공치즈는 2002년 11.2천 톤에서 2012년 18.1천 톤으로 61.7%(6.9천 톤) 증가
반면 자연치즈는 2002년 9.5천 톤에서 2012년 4.4천 톤으로 53.5%(5.1천 톤) 감소
○ 국내 치즈 소비량 중 국내산의 비중은 2002년 39.1%에서 2002년 22.7%로 16.4%p 하락
□ 향후 FTA 등 시장개방 확대로 치즈 자급률은 더욱 하락할 가능 성이 있으므로 자급률 향상과 국내 치즈산업 기반 유지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
○ 자급률 향상과 국내 치즈산업 기반 유지를 위해 현재 실시 중인 ‘가공 원료유 지원 사업’은 국내산 원유의 생산자가격이 주요 낙농국보다 높은 현재의 상황에서 반드시 필요하며 이를 더욱 확대·발전시킬 필요
가공원료유 지원 사업은 소비 성수기(6~12월)에 농가별 초과원유 생산량 중 일정부분(10% 내외)을 지원(생산비 수준까지 가격보전)
소비 비수기(1~5월)에는 유업체가 잉여원유를 이용하여 치즈 등 가공 유제 품 생산 시 지원
○ 또한 국내산 원유를 사용해 치즈를 만드는 것은 가격 경쟁력에서 수입 산에 뒤질 수 있으므로 품질제고, 수입산과의 시장차별화 등을 위한 노 력이 요구됨
축산경제연구실 박재홍 부연구위원 (02-2022-3841)
출처 : 농협경제연구소
|